목록전체 글 (107)
우리도 씁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6vfx/btq9zEBKn7B/u1illNujNC8GRgr1ICuhq1/img.jpg)
“여기는 너 따위가 올 공간이 아니야!” 나무 막대기가 내 머리통을 울렸다. 선생이 들고 있던 나무 막대기는 지름이 3cm는 됐다. 막대기에 맞은 내 머리는 떨었다. 분노보다 무서워서 나는 떨었다. 내가 아주 큰 실수를 했다. 전교 10등까지만 모아놓은 자습실에 들어갔다가 수업이 시작한 줄도 모르고 놀고 있었다. 벌써 8년 전의 이야기다. 8년 전에 나는 빡빡이었고, 고등학교 1학년이었다. 학교에서 먹는 저녁이 아직 낯설었다. 나는 가끔 자습을 빼먹어서 선생에게 뺨을 맞았고, 옆 교실의 친구들은 단체로 머리를 박았다. 어떤 친구는 수업 시간에 핸드폰으로 게임을 하다가 엉덩이를 50대 맞았다. 아, 이 친구를 때린 선생이내 머리를 나무 막대기로 때렸다. 선생은 성적이 좋은 10%를 따로 모아 특반을 만들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P1mVs/btq8ZH0wuSb/XuYzft1khVgRp4DHjuHzrk/img.jpg)
저 멀리 있을 땐 겨우 얕은 일렁임 따위였는데, 뭍에 와 하얗게 부서지는 파도를 보고있으면 저것은 모래사장의 무언가를 닦아내는 것인지, 되려 모래로 더럽혀 지는 것인지 헷갈릴 때가 있다. 파도가 거셀수록 바다와 모래의 경계는 두텁게 혼탁해진다. 이것은 경계의 당연한 속성이다. 펜 촉에 힘을 주어 선을 그을 수록 그 흔적은 깊게 남는다. 종이를 가로지르는 횡축(橫軸)의 짙은 선은 공간을 분리한다. 지평선은 땅과 하늘을 분리한다. 경계는 구별짓기의 결과이며 분리의 시작이다. 명확함은 모호함 보다 인기있다. 미덕으로 여겨지기도한다. 이도저도 아닌 미적지근한 커피는 팔리지도, 메뉴판에 적히지도 않는다. 부먹찍먹만큼의 논란을 야기하진 않겠지만, 은밀한 취향을 고백하자면 한참 식은 따뜻한 커피와, 얼음이 다녹아 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Fh4G/btq8IEO3bJU/LtnvyM1TLblnw8WLxFdKxk/img.jpg)
오른쪽 광대 언저리에서 통증이 느껴졌다. 좀 더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눈을 세게 깜빡여보고 어금니를 앙다물어도 보았다. 아픔이 그렇게 크진 않았지만 있는 건 확실했다. 손을 가져다 대보았다. 중지 손가락으로 조금씩 광대를 눌러보며 생각했다. 어디서 다쳤지, 어디 부딪혔나. 방금 운동할 때 다친 건가. 왼편에 놓인 덤벨이 눈에 들어왔다. 이두 운동을 위해 신나게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한 감각이 아직 팔에 남아 있다. 앞에 있는 모니터로 나오는 예능을 보며 무아지경 속에서 운동한 탓에 기구가 얼굴에 부딪히는 것도 못 느낀 건가 싶기도 했다. 아닌데, 내가 좀 둔하긴 해도 그 정도는 아닌데. 덤벨을 제자리에 갖다 놓고 다시 앉았다. 아니면 스트레스 때문인가. 정신적으로 힘들었을 때 겪었던 고통들을 떠올려봤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gqAJw/btq8ntn7pu4/P8CXmgQQCK79yKkC0DeWG0/img.jpg)
형은 원래 아팠던 아이였다고 한다. 어머니는 자신이 헌신했던 아이, 그 아이와 맞이한 새벽들, 먹였던 음식들, 모두 끌어들여 말한다. 어머니의 말에 따르면 남편, 그러니까 나의 아버지는 형의 장례 이후에 어머니에게 고생했다고, 자신은 그동안 그 아이에게 잘 해주지 못했다고 말을 하면서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하지만 어머니는 그의 말을 듣고 가증스러움을 느꼈다. 이제 와서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냐, 있을 때 진즉에 잘 했어야지, 이 사람아. 어머니에게 아버지의 통곡은 짜증 나고 쓸데없는 짓이었다. 집이 다 타버려서야 울리는 화재경보기처럼. 어머니의 말에 따르면, 당시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더 그 아이에게 헌신했고, 아버지가 채워주지 못한 보살핌을 자신이 채웠다고 생각했더랬다. 자신은 최선을 다했다고, 이만하면..